생각해 봅시다.

공과 지도법

꼬마향기 2010. 1. 5. 12:47

공 과  지 도 법
      
공과를 지도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교사는 큰 노동을 하는 자들이다.

어떤 실천신학자는 설교를 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은 13시간의 노동에 해당된다고 하였지만 공과를 가르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 역시 그 이상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주의 깊게 준비하는 학습 교안 계획은 효과적인 가르침에 있어서 절대적이다.
여행자에겐 지도가 있어야 하고,
건축가에겐 설계도가 있어야 하고,
미술가에겐 스케치가 있어야 하듯이
공과지도하는 교사에겐 공과계획이 있어야 한다.
공과계획을 하는 일은
①공과를 가르치는 준비이며,
②자기의 교사직을 개선하기에 있어서 본질적인 사역이다.

1. 계획의 중요성
① 시간의 제한성을 극복하는 방법
시간이 많지 않다. 세상에서 받는 교육의 소리, T.V의 환경에 노출된 학생들을 제한된 시간으로 가르치려면 계획하자.
② 피해야 할 계획
종이 조각에 덤벙대며 준비한 note을 피하고 준비하는 시간을 충분히 하므로 시간을 극복해야 한다.
③ 자금의 사용과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소총이냐, 대포냐! 연장을 택하듯이 준비되면 변화의 순간 위해 모든 것이 동원될 수 있다.
④ 교사에게 확신과 기다림을 준다.
기다리는 주일, 기다리는 공과지도 시간이 되어야 한다.
⑤ 반과 교사를 위한 길이다.
교회학교 현장의 위기를 극복하는 길이다. 준비된 공과지도 계획은 새로운 것, 깊은 것을 경험하게 해준다.  

2.실제적인 도움
① 준비하는 시간(時間)을 정하라.
누구든지 바쁘다. 그러나 시간을 효율성 있게 사용하지 못하여 바쁘고 시간을 잃어버릴 때가 많다. 그러므로 시간을 정하여 주간계획에 공과계획을 위하여 Time을 두어야 한다. 이 시간만큼은 약혼자를 만나고 친한 친구를 만나는 시간처럼 신실하게 지켜야 하고 주의 깊게 침해되지 않게 해야 한다.
② 준비하는 장소(場所)를 정하라.
교회의 교육관, 도서관, 가정의 공부방, 자신에게 가장 편리한  장소를 정하라 독서실로 가는 이들도 있다.
③ 준비하는 자료(資料)를 정하라.
공과를 계획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료를 현대 번역성서, 성서주석, 성서사전, 관 주(콘코던스), 학생정보수첩, 성서 지도 등을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라.
손가락에 반지를 끼고 다니면서, 성서와 공과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를 지니지 못한 교사는 반지를 빼서라도 이 자료들을 구입하라.
④ 준비하는 방법(方法)을 정하라.

♠ 개인이 준비하는 경우-
▷홀로 시작한다고 생각하지 말라
▷홀로 가르치려고 생각하지 말라
▷영적 태도가 올바로 되어야 한다
▷기도와 묵상이 있어야 한다
▷주간계획을 짜라(월-토까지)
    
♠ 그룹으로 준비하는 경우-
▷수요일 회합을 가지는 일과 교사회를 이용하여 합을 가지는 일이 있다
▷회합 전에 공과를  읽어야 한다
▷시간 전에 어느정도연구(硏究)되어있지 않으면 모임이 무용하다
▷수요일 회합이라면  수요일 이전에 공과의 윤곽이 머리 속에 들어와 있어야 하며 마무리 준비가 회합 이후부터 만들어야 한다
▷돌아가며 준비된 시안을 가지고 토의하고 보완하되 윤번제 당번이 된 자는 발표할 프린트 물을 배부해 준다.
▷교육관에 교안을 연구하기 위해
   ㉠전기 불이 들어와야 교회학교는 발전(發展)한다-
       말씀연구
   ㉡발전기가 돌아가야 교회학교는 발전(發展)한다-
       기도학습

3.감리교회 공과는?
1).만남의 교재이다 - 내용(內容) 중심(中心)만도
               경험(經驗)중심만도 아닌 만남의 교재이다.
            내용              경험
            진리           어린이, 학생
2).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교재이다.
     ①하나님의 계시
     ②인간의 응답
     ③구원-새로운 변화와 공동체들이 주는 구원
     ④선교-변화된 자들은 그리스도의 제자(弟子)가 된다
3).3년 Cycle의 교재이다.
                     하나님
                  ①        ②
             세계      ③     교회
4).학생용 교재와 교사용 교재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4.교안작성 요령

[첨부 참고]

     1). 목표를 정하라.
목표는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목표가 없는 가르침은 무의미하다. 평가의 기준을 제안해 준다. 목표가 없으면 기독교적 이상을 토의하는 공간에 불과한 Class가 된다.
♠목  적↔ 학기목적↔ 단원목적↔ 과 목표가 있다.
                 Objection-Goal-Aim
♠공과를 교안 작성하라.
    목표를 제시하기 위해 목표를 읽어보고 내용을 연관시켜라.
①지식적인 목표(知)- 학생에게 성경의 사실을 가르치고, 성경을 근본적으로 알게, 연구하게 되는 목표.(알게 한다. 알도록 돕는다)
②격려 적인 목표(情)- 학생들을 기독교적 태도를 받아들이도록 느끼고 깨닫고 인도해 보려는 목표.(깨닫게 하고, 느끼게 한다)
  ③행동적인 목표(義)- 학생들을 삶의 현장 속에서 구체적 행동으로 살도록 움직이려는 목표.(살아가게 한다. 행동하게 한다)

2). 좋은 목표란?
①기억(記憶)할 수 있는 만큼 간결(簡潔)해야 한다.
②기록(記錄)할 수 있는 만큼 명백(明白)해야 한다.
③달성(達成)할 수 있는 만큼 구체적(具體的)이어야 한다.

3). 교안 작성 시 주의할 점.
  ♠공과의 노예가 되지 말라.
  ♠공과를 다루는 요리사가 되라.
  ♠내용과 부합되는 방법론을 찾아라.
  ♠다 가르치려 하지 말라.

① 도입을 결정하라.
    '어떻게 시작할까?'가 중요하다. 본문의 이야기로 시작하기 보다 학생이 체험하고 있는 학생 주변의 이야기로 시작하라.
② 내용전개.
성서의 내용과 삶의 경험이 부딪쳐 만남의 장(場)이 되도록 한다. 여기에는 문학, 예술, 영화, 스포츠, 등등 강한 인상을 남겨 줄수 있는 이야기들을 자료로 삼고 창조적 활동을 설계하고 삶의 이야기는 집을 짓는 일에 있어서 창문을 내는 것과 같다. 창조적 활동은 집을 보다 아름답게 꾸미는 것과 같다. 강의식 방법을 주장하지 말고 학생들을 저금통장식 교육하지 말라. 내가 은혜 받은 방법이기에 학생들도 은혜 받으리라고 생각지 말라.
③.정 리.
앞부분에 대한 반복적 요약인데 결단과 자기적용이 되도록 한다. 되묻는 질문법을 사용하라.
④.과  제.
    학습의 연장을 교실 밖에서 이어가도록 제공한다.

5. 결    론
실제적 완성(完成)경험이 우수한 공과 지도자가 되게 한다.
코치는 그 길을 다 알지만 반복된 숙지 경험이 되지 않는 교사는 할 수 없다. 선수의 우수성은 경험으로 자기의 것을 삼는데 있다.
교사도 마찬가지이다.  

'생각해 봅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안 들이고 날씬해질 수 있는 방법"  (0) 2010.01.19
[스크랩] 똑똑 들어가도 될까요?  (0) 2010.01.05
하늘소망  (0) 2009.11.25
[스크랩] 한바탕 웃음으로...  (0) 2009.11.03
한바탕 웃음으로...  (0) 2009.11.03